-
통합고용세액공제 신설, 고용증대세액공제와 비교세무와 회계 2024. 1. 30. 11:03
목차
2024.01.29 - [세무와 회계] - 고용증대 세액공제 판단과 공제액, 주의사항
고용증대 세액공제 판단과 공제액, 주의사항
2023.11.23 - [세무와 회계] - 종합소득세 경정청구 하는 방법 (고용을 증대시킨 기업에 대한 세액 공제) 종합소득세 경정청구 하는 방법 (고용을 증대 시킨 기업에 대한 세액 공제) 2023.03.08 - [세무와
infoshowtime.com
통합고용세액공제 개편
고용증대 세액공제를 중심으로 5개의 고용지원 제도를 통합하여 '통합고용세액공제'로 개편됨
(23.1.1. 이후 개시하는 과세연도 분부터 적용됨)
종전 >>> 현행 고용증대 세액공제(모든 기업)
: 고용증가인원 x 1인당 세액공제액
*상시근로자 =
(중소) 수도권 700, 지방 770 / (중견) 450
*청년,장애인,60세이상 근로자 =
(중소) 수도권 1,100, 지방 1,200
(중견) 800 / (대기업) 400
-중소3년, 중견3년, 대기업2년< 통합고용세액공제 신설 >
(기본 공제)
: 고용증가인원 x 1인당 세액공제액
*상시근로자 =
(중소) 수도권 850, 지방 950 / (중견) 450
*청년,장애인,60세이상,경력단절여성 등 =
(중소) 수도권 1,450, 지방 1,550
(중견) 800 / (대기업) 400
-중소3년, 중견3년, 대기업2년
*청년 범위 : 15~34세사회보험료 세액공제(중소)
: 고용증가인원(2년) x 사용자분 사회보험료 x
공제율(일반 50%, 청년/경력단절여성 100%)
*청년 범위 : 15~29세경력단절여성 세액공제(중소, 중견)
: 경력단절여성 채용자 인건비(2년) x
공제율 (중소30% / 중견 15%)정규직 전환 세액공제(중소, 중견)
: 정규직 전환 인원(1년) x
공제액(중소 1,000 / 중견 700)(추가 공제)
: 인원수 x 1인당 세액공제액(1년)
*정규직 전환자, 육아휴직 복귀자
(중소) 1,300
(중견) 900육아휴직 복귀자 세액공제(중소,중견)
: 육아휴직 복귀자 인건비(1년) x
공제율(중소 30% / 중견 15%)고용지원 세제 단순화
유사 제도 통합 및 지원체계 일원화를 통해 지원 실효성 및 납세편의 제고
청년 고용 활성화
청년 연령 범위를 15~29세 >>> 15~34세로 현실화
취약계층 지원 및 일가정 양립 강화
정규직 전환자, 경력단절여성, 육아휴직 복귀자에 대한 고용 지원 확대
(주의) 23년 및 24년 과세연도분에 대해서는 '통합고용세액공제'와 기존 '고용증대 세액공제' 또는 '사회보험료 세액공제' 중 선택하여 적용 가능하지만, 통합고용세액공제와 고용증대세액공제 중복 적용은 불가
고용증대세액공제와 통합고용세액공제 비교
구분 고용증대 세액공제
(조특법 29의 7)통합고용 세액공제
(조특법 29의 8)
*23.1.1. 이후 과세연도분부터 적용적용대상 모든기업 (소비성 서비스업 제외) 공제요건 직전년도 대비 해당연도 상시근로자 수 증가 기
본
공
제그외
상시중소 수도권 700만원 850만원 지방 770만원 950만원 중견 450만원 청년
장애인
60세중소 수도권 1,100만원 1,450만원 지방 1,200만원(*1,300만원)
*20,21 고용증가분에 대해 한시적용1,550만원 중견 800만원 (지방은 *900만원)
*20,21 고용증가분에 대해 한시적용대기업 400만원 (지방은 *500만원)
*20,21 고용증가분에 대해 한시적용경력
단절
여성중소 수도권 - 1,450만원 지방 - 1,550만원 중견 - 800만원 대기업 - 400만원 추
가정규직
육아휴직중소 - 1,300만원 중견 - 900만원 청년의 범위 15세 ~ 29세 15세 ~ 34세 사후관리 필요 (기본공제)
* 상시근로자 수 감소하는 경우 : 추징
- 공제 후 2년 이내 상시근로자 수가 감소하는 경우 공제금액 상당액 추징
* 상시근로자 수 유지하는 경우 : 추가공제
- 고용유지 시 2년 (대기업 1년) 추가공제
(추가공제)
* 통합고용만 해당
- 전환일/복귀일로부터 2년 이내 해당 근로자와의 근로관계 종료 시 공제금액 상당액 추징중복 적용 불가 23년 및 24년 과세연도분에 대해서는 '통합고용세액공제'와 기존 '고용증대 세액공제' 또는 '사회보험료 세액공제' 중 선택하여 적용 가능하지만, 통합고용세액공제와 고용증대세액공제 중복 적용은 불가 2024.01.09 - [세무와 회계] - 성과공유 중소기업 경영성과급 사업자 세액공제 & 근로자 세액감면
성과공유 중소기업 경영성과급 사업자 세액공제 & 근로자 세액감면
2023.11.30 - [세무와 회계] - 강화된 고용 증대 경정 청구, 필수 제출 서류 (상시 근로자 내역) (feat. 홈택스 서식) 강화된 고용 증대 경정 청구, 필수 제출 서류 (상시 근로자 내역) (feat. 홈택스 서식)
infoshowtime.com
'세무와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말정산] 부녀자 공제 vs 한부모 공제 비교 (0) 2024.02.16 2024년 출산 · 보육 수당의 비과세 한도액 확대 (0) 2024.02.01 고용증대 세액공제 판단과 공제액, 주의사항 (0) 2024.01.29 성과공유 중소기업 경영성과급 사업자 세액공제 & 근로자 세액감면 (0) 2024.01.09 2024년 업무용 승용차 자동차보험 가입 대상 확대, 업무전용 자동차보험 미 가입 시 가산세 불이익, 법인사업자와의 비교 (0) 2023.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