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과세
-
2024년 출산 · 보육 수당의 비과세 한도액 확대세무와 회계 2024. 2. 1. 18:30
2023.08.29 - [노무와 4대 보험] - 2024년 최저임금, 월급 그리고 내 월급 실수령액은 얼마? 2024년 최저임금, 월급 그리고 내 월급 실수령액은 얼마? 최저임금은 임금의 최저 수준을 정하고, 사용자에게 이 수준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저임금 해소로 임금격차가 완화되고 소득분배 개선에 기여하는 아주 중요한 제도라고 infoshowtime.com 출산 / 보육 수당의 비과세 출산·보육 수당 근로자 또는 배우자의 출산이나 *6세 이하 자녀의 보육과 관련하여 사용자로부터 받는 급여 *과세기간 개시일을 기준으로 판단 비과세 한도 월 10만 원 이내의 금액 >>> 24년부터 월 20만 원 이내의 금액으로 확대 비과세 여부 판단 6세 이하의 자녀 2인 이상을 둔 경우에도 자녀수에..
-
[2023년 1월] 비과세 식대 한도액,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최저임금 인상 안내노무와 4대보험 2023. 2. 7. 20:34
2023년 1월부터 달라지는 것들이 몇 가지 있습니다. 이는 매월 급여를 받고 있는 직장가입자 근로자인 분들이라면 더욱더 밀접하게 관계되어 있을 듯한데요. 어떤 것들이 달라지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3년 비과세 식대 한도액 확대 2023년 1월부터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인상 2023년 최저임금 2023년 비과세 식대 한도액 확대 종전 (2022년) 현행 (2023년) 식대 비과세 한도 월 10만원 월 20만원 드디어 비과세 식대 한도액이 상향되었습니다. 고물가 시대에 맞춰 비과세 식대 한도액이 상향된 것인데요. 하루 식대 평균 1만 원을 넘는 시절이 한참 전부터 시작되었는데 종전 월 10만 원 한도액은 정말 너무한 금액인 것 같았습니다. 드디어 23년부터 한도액이 상향되어 너무 반가운 변화..
-
[국민연금] 국민연금 임의계속가입과 연기연금제도에 대해 알아봅시다.노무와 4대보험 2022. 10. 21. 19:24
많은 분들에게 국민연금이란 정말 민감한 부분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직장인이라면 언젠가 돌려받을 소중한 장기 적금처럼 차곡차곡 쌓여가고 있으실 텐데요. 오늘은 국민연금과 노령연금을 비롯해 국민연금 임의계속 가입과 연기연금제도까지 조금 더 자세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언젠가 누구에게나 꼭 필요한 정보가 될 테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자 그럼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국민연금 임의계속 가입을 알아보기 전에 노령연금이 무엇인지부터 알아봐야 할 것 같습니다. 노령연금이란 국민연금보험료를 최소 10년 이상 납부(가입)하여 국민연금공단으로부터 수령하는 연금을 말합니다. 다만 수령해야 하는 조건이 하나 있습니다. 국민연금 가입기간이 10년이 되지 않으면 노령연금 수급이 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