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과세급여
-
2024년 출산 · 보육 수당의 비과세 한도액 확대세무와 회계 2024. 2. 1. 18:30
2023.08.29 - [노무와 4대 보험] - 2024년 최저임금, 월급 그리고 내 월급 실수령액은 얼마? 2024년 최저임금, 월급 그리고 내 월급 실수령액은 얼마? 최저임금은 임금의 최저 수준을 정하고, 사용자에게 이 수준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저임금 해소로 임금격차가 완화되고 소득분배 개선에 기여하는 아주 중요한 제도라고 infoshowtime.com 출산 / 보육 수당의 비과세 출산·보육 수당 근로자 또는 배우자의 출산이나 *6세 이하 자녀의 보육과 관련하여 사용자로부터 받는 급여 *과세기간 개시일을 기준으로 판단 비과세 한도 월 10만 원 이내의 금액 >>> 24년부터 월 20만 원 이내의 금액으로 확대 비과세 여부 판단 6세 이하의 자녀 2인 이상을 둔 경우에도 자녀수에..
-
[세금] 근로 소득세를 줄이는 방법, 비과세 급여 활용 편 !세무와 회계 2022. 10. 12. 16:18
직장이 있으신 근로소득자 분들은 근로소득세라는 세금에 대해 다들 알고는 계시죠? 이번 시간에는 월 근로소득세를 줄일 수 있는 방법 중 비과세 급여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려 합니다. 조건에 해당이 되신다면 소중한 월급에서 공제 차감되는 공제액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직장인이라면 꼭 한번 확인해보시면 좋겠습니다. 비과세 급여 왜 중요할까요? 급여는 크게 과세 급여와 비과세 급여 이렇게 2가지로 구분이 될 수 있습니다. 과세 급여는 말 그대로 세금을 정하는 기준이 되는 급여입니다. 과세 급여액으로 인해서 근로소득세 및 지방세가 계산되고, 4대 보험을 산출하는 기준이 되는 것입니다. 월급여에서 공제(차감)되는 근로소득세 및 지방세와 근로자 부담분인 4대 보험을 줄이면 줄일수록 실제로 월급으로써 수령하게 ..